ABOUT ME

-

  • 콘택트렌즈 수돗물로 씻지 말자.
    카테고리 없음 2025. 2. 6. 04:09

     

    요즘 눈이 자주 가려워서 고생입니다.

    날씨도 건조하고, 봄이 되어 꽃가루가 날려서 그런가봐요.

    평소에는 당연하게 느끼는 눈의 소중함을 잊지 말고,

    눈에 안 좋은 짓은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눈이 안 좋아서 시력교정이 필요한 사람이 거의 절반입니다.

    좋았던 시력이 성장하면서

    점차 떨어진 분들 많죠?

    옛날 같으면 정상적인 삶을 살기 힘들었겠지만, 

    지금은 안경이나 렌즈 등을 통해서

    적당한 시력을 가지고

    무탈한 삶을 살 수 있어서

    좋은 세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절반이상의 사람이 

    시력을 교정해서 살아갑니다. 

    점점 더 많은 사람이 근시가 되어 갑니다.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도 근시일 수 있죠? 
    많은 저시력자들이 렌즈를 사용하기 때문이죠.
    콘택트렌즈는 눈에 착용해서

    타인에겐 보이지 않기에 
    직접적으로 관찰하지 않는 한, 

    주변인은 착용여부를 모릅니다.
    그런데 콘택트렌즈를  사용 후에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요즘엔 일회용도 많아서 매일 쓰고 버리기도 하는데요.

    다회용의 관리가 문제입니다. 
    오래된 렌즈에는 세균이 존재할 수 있어요.

    눈에 직접 닿는 것이기 때문에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렌즈관리에 대한 주의점을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렌즈 표면도 녹아서 시력에 도움이 안 되고 있을 가능성도 존재해요.
    각종 오염물이 눈을 상하게 할 수 있는 거예요.
    사용 기한이 지난 렌즈는 사용하지 말고 버리도록 하세요.
    조금 더 쓸 수 있다고 생각해서 사용하면 눈이 세균에 감염 되어 비싼 댓가를 치를 수 있어요.

    렌즈 케이스는 3개월마다 꼭 교체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세균이 번식해서 당신의 눈 건강을 위협할 것입니다.
    오래된 렌즈 케이스를 쓰는 사람의 눈에 세균이 감염 될 확률은 6.4배나 높아요.

     


    렌즈는 물을 흡수한다는 것 알고 계시죠?
    렌즈를 낀 채로 씻는게 안 좋아요.
    물에 있는 불순물과 미생물 때문에 렌즈의 모양이 변할 가능성이 있어요.
    또, 혹시 존재할 수 있는 물 속의 미생물은 눈 감염의 주요 원인이 돼요.

    설마 수돗물로 렌즈 닦는 분들 없죠?

    수돗물은 안 됩니다.

    헹구는 것은 가능하지만 

    소독과 세척기능이 없으니까요. 

    수돗물로만 씻는다면 청결하지 못한 관리가 되고,

    콘택트렌즈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요.
    눈이 무슨 잘못을 해서 그런 짓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결국 본인이 엄청난 고통을 느끼게 될 수 있어요.
    렌즈 전용 세척제를 사용해야 하고, 최소한 식염수를 사용하세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